2020정보처리기사필기 5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 3과목]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logical design)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49.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 설계(logical design)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 2.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구조로 매핑(mapping) 3. 트랜잭션 인터페이스 설계 4. 스키마의 평가 및 정제 정답: 1번 해설 레코드 집중의 분석 및 설계는 물리적 설계 단계에서 수행하는 작업이다. 물리적 설계 단계 1. 논리적 설계 단계에서 논리적 구조로 표현된 데이터를 디스크 등의 물리적 저장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물리적 구조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2. 데이터베이스 파일의 저장 구조, 레코드의 형식, 접근 경로와 같은 정보를 사용하여 데이터가 컴퓨터에 저장되는 방법을 묘사한다. 3. 트랜잭션을 작성한다. 4. 물리적 설계 단계에 꼭 포함되어야 할 것은 저장..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 3과목]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은?

48.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삽입,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는 절차형 SQL은? 1. 트리거(trigger) 2. 무결성(integrity) 3. 잠금(lock) 4. 복귀(rollback) 정답: 트리거(trigger) 해설 절차형 SQL 1. 프로시저(Procedure) -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일종의 트랜잭션 언어이다. - 호출을 통해 실행되어 미리 저장해 놓은 SQL 작업을 수행한다. 2. 트리거(Trigger)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입력, 갱신, 삭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할 때마다 관련 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된다. 3. 사용자 정의 함수 - 프로시저와 유사하게 SQL을 사용하여 일련의 작업을 연속적으로 처리한다. - 종료 시 예악어 Ret..

[2020 정보처리기사 필기 - 3과목]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46. 이행적 함수 종속 관계를 의미하는 것은? 1. A → B 이고 B → C 일 때, A → C를 만족하는 관계 2. A → B 이고 B → C 일 때, C → A를 만족하는 관계 3. A → B 이고 B → C 일 때, B → A를 만족하는 관계 4. A → B 이고 B → C 일 때, C → B를 만족하는 관계 정답 : 1번 해설 이행적 함수 종속(Transitive Functional Dependency) 릴레이션에서 X,Y,Z라는 3개의 속성이 있을 때 X → Y | Y → Z란 종속 관계가 있을 경우, X → Z가 성립될 때 이를 이행적 함수 종속이라고 합니다. X를 알면 Y를 알고, 그를 통해서 Z를 알 수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